반응형
Recent Posts
관리 메뉴

정보통통

영아돌연사증후군 위험 요인 및 예방법 본문

생활정보

영아돌연사증후군 위험 요인 및 예방법

정보통통 2021. 2. 14. 23:10
반응형
목차

영아 돌연사증후군이란

영아 돌연사증후군 위험요인

예방법

영아 돌연사증후군이란

생후 1개월 이상 건강하게 살다가 갑자기 사망했을 때 원인이 미상인 경우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진단이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가 자다가 죽은 채로 발견이 되며 설령 부검을 하더라도 사망원인이 밝혀지지 않습니다. 영아 급사증후군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SIDS(sudden infant death syndrome)라고도 합니다.영아 돌연사증후군은 1~5개월 사이의 연령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95%가 생후 6개월 전에 발생합니다. 계절적으로는 통계상 가을과 겨울철에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6:4의 비율로 남아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주로 깊은 밤부터 아침 9시 사이에 발생합니다.부모에게는 더없는 충격과 트라우마를 안겨주는 경험입니다.

 

영아돌연사증후군 위험요인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위험요인은 어느 정도 규명이 되어있다 하겠습니다.

조산아, 담배연기에 노출된 아이 등이 위험성이 높으며 아이를 엎드려 눕히거나 지나치게 푹신푹신한 침대에 눕히는 일, 잠자리에 인형이 있는 경우가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산모가 임신 중에 흡연을 해서는 안됩니다. 물론 아이가 태어난 이후에도 흡연은 금물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산모가 흡연할 경우 영아 돌연사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3~5배 정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수면습관 측면에서는 아이 침대에 푹신한 담요를 깔아주거나 인형을 가득 채우는 것도 위험합니다. 이는 머리를 잘 가누지 못하는 영아가 질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등을 아래로 해서 바로 눕혀야 합니다. 아이가 엎어진 상태로 사망한 경우가 많이 있어서입니다. 그리고 성인용 침대에서 함께 재우는 것도 위험합니다. 부모가 아이와 함께 자다가 깔려서 사망하는 케이스도 많이 축적이 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유전적 요인들과 출산 전 인자 요인에 따른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방법

1. 산모는 금연을 해야 하며 출산 이후에도 집 내부에서 흡연을 하지 않는다.

2. 아이와 같은 침대에서 자지 않는다. 부모와 한 방에서 자되 침대를 가까이하는 것이 좋다.

3. 매트리스가 너무 부드럽지 않은 단단한 아이용 침대를 선택한다.

4. 이불과 인형을 아이 침대에 두지 않는다.

5. 아이 재울 때 등을 아래로 해서 똑바로 눕힌다.

6. 가급적 모유수유를 한다.

7. 공갈젖꼭지를 자주 사용한다.

8. 적정한 실내온도를 유지한다. 

 

 

반응형
Comments